컨텐츠 내용

과정 이미지

국민내일배움카드란?

직업훈련을 희망하는 국민(공무원, 사회연금대상자,
재학생 등 제외)이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훈련비용을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 관련 문의 : 1350

사업주 위탁훈련이란?

사업자 위탁훈련은 회원님의 사업주와 본 교육원의
위탁계약을 통해 실시쇱니다.
사업주 위탁훈련을 진행하시기 원하시면
교육원으로 문의(02-6933-1177)를 주시거나,
회원님의 사업주 또는 교육담당자에게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민법의 이해와 실무(일반)
민법의 이해와 실무(일반)
교육기간
신청기간 ~
복습기간 학습종료 후 90일 까지
교육비
환급액
  • : 0원
  • : 0원
  • : 0원
맛보기 좌측 이미지 클릭시 맛보기 동영상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중앙법률원격평생교육원 과정 신청 안내

☑ 중복 수강기간 내 최대 2개 과정 신청 가능합니다.

  • 법률사무원 기초 실무 종합반의 경우 1개 과정
  • 한꺼번에 여러 과정을 신청하시면 수료하시는데 어려움이 있어요.
  • 훈련기간 내 일정에 수료 완료 시 추가 신청이 가능합니다.

☑ 직전 수강 과정이 미수료인 경우 2개월 후 추가 신청 가능합니다.

  • ※ 해당 미수료는 진도 미달, (재)평가 미응시자 대상
  • 신청 제한 [2개월] 기간은 추가 신청(문의)한 시점에 따라 안내드립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수강신청 시 다음 절차를 모두 완료해 주시기 바랍니다.

  1. ① 본 교육원 홈페이지에서 근로자 자부담금 결제
  2. 고용24 사이트에서 해당 과정에 대한 수강신청 (이미 완료한 경우 해당안됨)

※ 자부담금 결제를 완료하였더라도 고용24에서 수강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과정 수강이 불가합니다.(미승인)

[ 닫기 ]

과정소개
민법의 이론과 실무과정은 실무자들이 기본이자 으뜸이 되는 민법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설명하고, 법률관련 직종에 취업을 희망하는 수강생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이론 및 실무관련 쟁점 위주로 강의가 진행한다.
주요내용으로서 권리의주체, 행위능력, 권리의객체, 법률행위, 대리제도, 기간, 소멸시효, 물권, 물권변동, 점유권, 소유권, 지상권, 전세권, 유치권, 질권, 저당권, 근저당권, 가등기, 채권, 채무, 채무불이행, 채권자대위권, 채권자취소권, 채권양도, 채무인수, 연대채무, 보증채무, 변제, 공탁, 상계, 계약, 증여, 매매, 임대차, 임대차보호법, 법정채권, 불법행위, 혼인, 협의이혼, 재판상이혼, 양자, 친양자, 부양, 후견, 상속, 한정승인, 상속포기, 유언, 유류분 등에 관련된 이론 및 법률서류의 작성 등의 학습을 통하여 업무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학습목표
민법의 이론과 실무과정은 실무자들이 기본이자 으뜸이 되는 민법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설명하고, 법률관련 직종에 취업을 희망하는 수강생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이론 및 실무관련 쟁점 위주로 강의가 진행한다.
주요내용으로서 권리의주체, 행위능력, 권리의객체, 법률행위, 대리제도, 기간, 소멸시효, 물권, 물권변동, 점유권, 소유권, 지상권, 전세권, 유치권, 질권, 저당권, 근저당권, 가등기, 채권, 채무, 채무불이행, 채권자대위권, 채권자취소권, 채권양도, 채무인수, 연대채무, 보증채무, 변제, 공탁, 상계, 계약, 증여, 매매, 임대차, 임대차보호법, 법정채권, 불법행위, 혼인, 협의이혼, 재판상이혼, 양자, 친양자, 부양, 후견, 상속, 한정승인, 상속포기, 유언, 유류분 등에 관련된 이론 및 법률서류의 작성 등의 학습을 통하여 업무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교육대상
1. 로펌 등 법률사무원 취업희망자 및 재직자
2. 법무법인&개인 변호사 사무실 사무원 취업희망자 및 재직자
3. 법무사사무소 사무원 취업희망자 및 재직자
4. 기업 법무팀 취업희망자 및 재직자
5. 실제 법실무에 대한 사전지식이 필요한 학습자
6. 기본적인 법률지식이 필요한 일반인 등
평가기준
평가기준
진도 시험 과제 진행단계
반영비율 100% - -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강의목차
차시 강의명
1차시 민법이란 무엇인가
2차시 권리의 주체 - 자연인
3차시 자연인의 행위능력
4차시 권리의 주체 - 법인
5차시 권리능력 없는 사단
6차시 권리의 객체
7차시 법률행위
8차시 대리제도
9차시 소멸시효(1) - 소멸시효기간
10차시 소멸시효(2) - 소멸시효중단
11차시 물권법 일반
12차시 공시의 원칙과 공신의 원칙
13차시 법률행위에 의한 부동산 물권변동
14차시 법률의 규정에 의한 부동산 물권변동
15차시 부동산등기제도
16차시 동산의 물권변동
17차시 점유권과 소유권
18차시 부동산 취득시효
19차시 공동소유
20차시 지상권
21차시 전세권
22차시 유치권과 질권
23차시 저당권과 근저당권
24차시 가등기담보권
25차시 채권법 일반
26차시 채무불이행
27차시 손해배상
28차시 채권자대위권과 채권자취소권
29차시 채권양도와 채무인수
30차시 연대채무와 보증채무
31차시 변제
32차시 변제공탁
33차시 상계
34차시 계약의 해제와 해지
35차시 증여계약과 매매계약
36차시 소비대차계약과 임대차계약
37차시 법정채권
38차시 가족법 일반 - 가족관계 공시제도
39차시 혼인
40차시 이혼
41차시 부모와 자
42차시 친권
43차시 후견과 부양
44차시 상속(1) - 상속순위 등
45차시 상속(2) - 상속분 등
46차시 단순승인, 상속포기, 상속한정승인
47차시 유언과 유류분